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0

타로와 상처 치유 - 감정 회복을 위한 리딩의 힘 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감정의 파편들을 겪습니다.사랑과 이별, 기대와 실망, 실패와 용기, 외면과 인정.이 감정들은 단순히 스쳐가는 감정이 아니라,몸과 마음에 깊은 인상을 남기는 심리적 흔적, 즉 ‘상처’로 남습니다.이 상처들은 시간이 지나면 잊히기도 하지만,어느 날 문득, 말 한 마디나 낯선 장면 하나에 의해 다시 떠오르며우리를 그 시점으로 끌고 가는 감정의 시간 여행을 만들어내기도 하죠. 심리학에서는 이것을 '정서적 기억(emotional memory)'이라 부릅니다.이 기억은 단순히 정보로 저장된 것이 아니라,감정과 신체감각, 자기 정체성과 깊이 엮여 있는 경험입니다.그래서 우리는 그때의 감정을 완전히 말로 풀어내지 못하고,때론 억눌러 두거나, 잊은 척하며 살아가게 됩니다.타로 리딩은 이 숨겨진 감.. 2025. 6. 3.
타로와 꿈 — 무의식의 상징을 해석하는 방법 한밤중 갑자기 깨어나 어렴풋이 떠오른 장면.낯선 사람, 반복되는 상징, 말없이 흐르는 감정.우리는 꿈속에서 종종 말보다 더 강렬한 ‘무의식의 언어’를 경험합니다.꿈은 의식의 틈을 비집고 나오는 심층 심리의 파편,그리고 개인의 욕망, 불안, 갈망, 억압이 상징적으로 변환된 무대입니다. 한편, 타로 또한 그림과 이미지, 그리고 상징으로 구성된 언어를 사용합니다.이 상징들은 꿈에서 등장하는 이미지들과 마찬가지로 무의식적 정서와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따라서 타로와 꿈은 모두 무의식의 세계를 탐험하는 도구이자,그 세계를 해석하기 위한 상징 언어 시스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융(C.G. Jung)은 꿈을 ‘자기(Self)’가 의식에게 보내는 편지라고 표현했습니다.타로 또한 개인의 깊은 내면이 카드라는 상징을 통해.. 2025. 6. 2.
내담자의 언어, 리더의 해석 - 리딩에서 대화가 갖는 힘 타로 리딩을 한다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카드에 주목합니다.무슨 카드가 나왔는지, 그 카드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어떤 해답을 주는지에 집중하죠.하지만 타로 리더라면 곧 알게 됩니다.진짜 리딩은 카드가 아닌 사람의 입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을.리딩을 요청한 내담자는 종종 이렇게 묻습니다.“이 사람은 저를 좋아하는 걸까요?”, “퇴사를 해도 될까요?”, “왜 자꾸 비슷한 일이 반복될까요?”표면적으로는 단순한 질문처럼 보입니다.하지만 그 질문을 건네는 말투, 어조, 눈빛, 말과 말 사이의 공백 속에는감정의 농도, 망설임, 기대, 두려움, 혹은 포기가 담겨 있습니다.카드보다 먼저 읽어야 할 것은 바로 이 언어의 결입니다. 심리상담에서 ‘말을 듣는다’는 것은 단순히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아닙니다.그 사람의 삶.. 2025. 6. 2.
타로와 감정 인식 - 마음을 읽는 또 하나의 언어 인간은 감정의 존재입니다.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 감정을 경험하고, 때로는 그것에 휘둘리며, 때로는 감정의 정체를 몰라 스스로 혼란스러워지기도 합니다.하지만 감정은 결코 ‘방해 요소’가 아닙니다.오히려 감정은 우리 내면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정보이자, 외부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중재하는 중요한 신호 체계입니다.심리학자 리사 펠드먼 배럿(Lisa Feldman Barrett)은 감정을 ‘구성적 개념’이라고 설명하며, 감정은 생리적 반응이나 상황 해석, 과거 경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두뇌가 만들어낸 의미 있는 경험이라고 말합니다.즉, 감정은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해석의 산물’이며,그 해석을 통해 우리는 자신이 누구인지, 지금 어떤 상태인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이런 점에서 타.. 2025. 6. 1.
대비 카드 해설 - 경계와 인식의 힘 타로의 메이저 아르카나 2번 카드, 대비(The High Priestess)는다른 어떤 카드보다도 침묵, 직관, 경계, 비가시적 세계에 대한 인식을 상징합니다.그녀는 성전 앞 두 개의 기둥 사이에 앉아 있으며, 흑과 백, 양과 음, 명과 암의 기운을 동시에 품고 있습니다.하지만 대비는 단순히 신비한 여성이 아닙니다.그녀는 우리 모두가 삶의 문턱에 섰을 때 마주하는 ‘내면의 문지기'입니다.모든 인간은 인식되지 않은 무의식을 안고 살아갑니다.그러나 인식은 ‘지식’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무언가를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느끼고, 멈추고, 경청해야 합니다.이 지점에서 ‘대비’는 단지 지식을 지닌 여성이 아니라,진리를 지키는 자이며, 질문보다 깊은 침묵의 언어를 아는 자로 읽혀야 합니다.이 카드가 리딩에서 등장할 .. 2025. 6. 1.
타로와 삶의 선택 — 갈림길에서의 내면 나침반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라는 말은 이제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하지만 우리가 놓치기 쉬운 것은, 그 ‘선택’이란 행위가 단지 행동의 분기점이 아니라, 매번 내면의 깊은 감정과 두려움,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를 건드린다는 점입니다. 우리는 결정을 내릴 때마다 무엇을 선택하느냐보다 ‘왜 그런 선택을 하려는가’에 대한 내적 근거를 되묻게 되며, 때로는 그런 근거조차 흐릿한 채 불안과 갈등 속에 머무릅니다. 심리학자 배리 슈워츠(Barry Schwartz)는 그의 저서 『선택의 역설』에서 선택의 자유가 많을수록 인간은 더 불행해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선택이 많아질수록 우리는 자신의 결정에 대한 책임감과 후회의 가능성을 더 크게 짊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현대 사회는 개인의 주체적 선택을 강조하면서도, 그 선택.. 2025. 5. 31.